반응형 C40HF2 미국설비 제작건. PNP 타입의 QX82 사용하기 https://hyry0819.tistory.com/173 PLC PNP & NPN, 싱크 & 소스, Sink & Source 싱크와 소스 NPN과 PNP 처음에 잘 이해를 해둬야 나중에 헷갈리지 않는다. P형 반도체 사이에 N형을 끼워 놓은것을 PNP N형 반도체 사이에 P형을 끼워 놓은것을 NPN 입력과 출력도 구분이 되고 있다. P hyry0819.tistory.com 일단 PNP와 NPN의 차이..!! 미국은 PNP를 사용한다네요.. 이번에 사용하는 PLC조립해 놓은 사진입니다~ 입력은 QX82로 출력은 QY42P로 되어있어요~ (출력은 NPN으로 해달라는 요청사항이 있었습니다~) QX82가 3장 들어가고요~ MS16을 쓰고 싶었는데 MS4를 3장 넣어달라는 요청사항이 있었습니다... 쩝...금액.. 2023. 7. 10. IO LINK CABLE 선정하기. PLC를 IO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선정이다.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것은 C40HF-10PX-1을 사용했었는데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것은 C40HF-10PX-1을 사용하고 있다. (모양이 이뻐서 사용하는건가?) 배전반에서 PLC와 모듈의 거리가 그리 길지 않아 보통 1미터정도면 가능한데.. 간혹 길어지면 1.5미터 까지 사용하기는 한다. C40HF-10PX(1m) C40HF-15PX(1.5m) 거리를 결정 하여 신청할 수 있다. 케이블이 케이블체인을 타고 배선을 해야할경우에는 동작형 케이블을 사용해야한다. 처음에는 사용되다가 나중에 단선이 나면 찾기도 힘들다.. 오늘도 힘내자..;; 2021. 2. 10. 이전 1 다음 반응형